본문 바로가기
읍면안내

남계리

남계리

본래 마전군 화진면 지역으로 조선 중엽 '남계(楠溪)'라는 호를 가진 영동 이씨의 묘가 있다 하여 남계리라 하였는데, 1895년(고종 32) 지방관제 개정에 따라 도감포리와 음대포리로 분할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분할되었던 2개 리를 병합하여 다시 남계리라 하였다. 1945년 해방 이후 38선 북쪽 지역이 되어 공산 치하에 놓였다가, 한국전쟁이 끝난 후인 1954년 1월 7일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에 의거, 행정권이 수복되어 오늘에 이른다. 현재 2개의 행정리, 10개 반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명유래

  • 계림동 : 도감포 북쪽, 임진강 옆에 있던 마을.
  • 단풍동(丹楓洞) : 도감포 북쪽에 있는 마을. 한국전쟁 전까지도 단풍나무 고목 세 그루가 있었다고 한다.
  • 도감포[都監浦, 陶哥湄, 陶家湄, 甕岩灘] : 남계리 남쪽, 임진강과 한탄강이 합류하는 곳에 있던 포구 마을. 옛 지리지나 여러 기행문에는, 이곳 합수머리에서 임진강을 따라 전곡읍 마포리 지역에 넓게 펼쳐진 꽃답벌과 미산면 동이리 썩은소 앞의 강폭이 좁아지는 지점까지의 지형이 항아리의 형태와 닮았다 하여 '독안이[壺內]' 또는 '호구협(壺口峽)'이라는 명칭으로 불리워졌다고 한다. 그러므로 항아리와 닮았다고 하는 지형 안에 있는 도감포의 원래 의미는 '항아리 형태의 지형 안에 있는 포구'란 뜻으로, '독안개[壺內浦]'또는 '독안이'로 불리던 것이 '도감', '독암'으로 음이 변하여 한자로 지명을 옮겨 쓰는 과정에서 '도감포' 외에 여러 한자 명칭으로 표현되었다. 이 곳은 일제강점기 때까지도 임진강을 따라 올라온 새우젓, 소금 배들이 정박하며 연천 지역에서 생산되었던 곡물, 땔감, 도자기 등을 물물교환하던 큰 장이 형성되기도 했다. 한국전쟁 전에는 제주 고씨가 집성촌을 이루며 살았다.
  • 벌말[坪村] : 어산 동남쪽에 있는 남계리에서 가장 큰 마을. 한국전쟁 전에는 안동 권씨(安東權氏)들이 집성촌을 이루고 살던 곳이다.
  • 신복동 : 단풍동 북쪽에 있는 마을. 한국전쟁 이후 수복이 되면서 새로 형성되었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 포촌음터[浦村隱垈, 音垈浦里] : 동매기등 동쪽, 한탄강 언덕 위에 있던 마을. 전곡읍 은대리의 음터와 인접한 포구 마을이 되어 지어진 이름으로, 『광무읍지』 마전조에는 음터의 발음대로 '음대포리'로 기록하고 있다. 한국전쟁 전에 큰 마을을 이루었던 곳이나 수복 후 경지를 정리하여 지금은 농경지로 변해 있다.

지역 설명

  • 동매기등 : 정가니골짜기 남쪽에 있는 등성이. 지금은 벽돌공장이 들어서 있다.
  • 밤여울[栗灘] : 계림동 서쪽에 있는 임진강에 있는 큰 여울.
  • 빨래나드리 : 동매기등 아래에 있는 한탄강 나루터. 예전에 빨래를 했던 곳이며 전곡읍 고능리로 연결된다.
  • 어산(魚山) : 큰웅댕이 옆에 있는 산. 높이 70m. 산의 모양이 물고기와 같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어씨(魚氏)의 묘가 있다 해서 ‘어산'으로도 불리운다고 한다.
  • 정가니골짜기 : 태안개울 옆에 있는 작은 골짜기.
  • 주란마루 : 어산 남쪽에 있는 긴 둔덕.
  • 중턱굴 : 계림동 북쪽, 임진강 석벽 중간에 있는 자연굴. 그 깊이를 알 수 없다고 한다.
  • 진밭고리 : 신복동 북쪽, 남계리 중앙에 있는 밭. 땅이 몹시 질어 곡식이 자라지 못해 피를 많이 심었던 곳이었으나, 화진벌이 경지 정리되면서 지금은 옥답으로 변해 있다.
  • 큰웅댕이 : 남계리와 황지리 경계인 332번 지방도 아래에 있는 웅덩이.
  • 태안개울 : 벌말에서 한탄강으로 흐르는 개울.
  • 화진벌[禾津坪] : 남계리와 황지리에 펼쳐져 있는 넓은 들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