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잔상리
고잔상리
장단도호부 강동면의 곶잔리(串棧里)라 하였으나, 조선조 말에 와서 고잔리로 개칭하였다. 1895년(고종 32) 지방관제 개정에 따라 강동면 전 지역이 마전군으로 편입되면서 강신면으로 개칭됨과 동시에, 고잔리가 상·중·하 3개 리로 분할되었으며, 1914년 군·면 폐합에 따라 연천군 왕징면으로 편입되면서 고잔상·하의 2개 리로 다시 개편되었다. 1945년 해방 이후에는 38선 이북이 되어 공산 치하에 놓이게 되었고, 한국전쟁 후인 1954년 11월 17일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 공포에 의하여 행정권이 수복되어 오늘에 이른다. 고잔상·하리 전 지역은 군사분계선을 끼고 있는 완충 지대로 지금은 민간인이 살고 있지 않다.
지명유래
- 등너머 : 산뒤 서쪽에 있던 마을.
- 백석동(白石洞) : 마량산 서쪽 골짜기 안에 있던 마을.
- 산뒤[山後洞] : 안터 서쪽에 있던 마을. 고왕산 뒤에 있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한국전쟁 전에는 진주 강씨 4가구가 살던 곳이다.
- 새말[新村] : 미래이골짜기 입구에 있던 마을. 안동 권씨(安東權氏)들이 살던 곳이다.
- 쇠재[金尺洞] : 나븐골고개 서북쪽에 있던 마을. 원래는 사이라는 뜻의 ‘새'와 고개의 다른 이름인‘재'가 합쳐져 ‘고개 사이에 있는 마을'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 곳이었으나,‘새'가 ‘쇠'로 ‘재'가 ‘자[尺]'로 발음이 옮겨지며 한자식 지명이 되었다.
- 안터[內垈] : 산뒤와 윗산뒤 사이에 있던 마을.
- 윗산뒤 : 산뒤 동쪽, 산뒤 마을 위에 있는 마을. 한국전쟁 전에는 3가구가 살았다고 한다.
- 한드루 : 쇠재 북쪽에 있던 마을. 한국전쟁 전에는 청송 심씨가 집성촌을 이루고 살았다.
지역명칭 설명
- 개미역골 : 도툰영 북쪽에 있는 골짜기. ‘개미골'로도 불린다
- 나븐돌고개 : 고잔상리에서 고왕리의 깊은골로 넘어다니던 고개. 고갯마루에 6명이 앉을만 한 푸른 빛의 넓은 돌이 있어 지어진 이름이다.
- 도툰영 : 새말 서쪽에 있는 골짜기.
- 마량산(馬良山), 미량산 : 고잔상리와 고장리 경계에 있는 산. 높이 315m. ‘높음' 혹은 ‘신성함'을 뜻하는 ‘말'이 마라 > 마랑 > 마량으로 연철되어 현재의 지명으로 자리잡았다는 유래가 있다. 한편으로는 고왕산이 되려다 밀려나서 ‘밀린산'이 되었다가 차츰 어휘가 변하여 미량산이 되었다는 전설도 있다.
- 막터골고개 : 미래이에서 고장리의 막터골로 넘어다니던 고개.
- 미래이 : 줄바위등 북쪽, 마량산에 딸린 골짜기.
- 백산(白山) : 고잔상리·고잔하리·고장리의 경계에 있는 산. 백씨의 소유였다고 하여 지어진 이름이라 한다.
- 범바위골 : 줄바위등 남쪽에 있는 골짜기. 이 골짜기 안에 있는 크고 넓은 바위 위에 범이 자주 나와 노닐었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 약물터 : 고왕산 북쪽, 윗산뒤 골짜기 안에 있는 약수터. 많은 양의 물이 암벽 사이를 폭포처럼 떨어져 부근에 살던 사람들이 피부병에 효험이 있다 하여 물맞이를 했으며, 한발이 심할 때면 기우제를 지내던 곳이다.
- 줄바위등 : 고잔상리 중앙에서 고잔하리 쪽으로 뻗은 긴 산등. 고잔리의 유래가 되는 곶의 형태를 취하고 있는 곳이다. 고잔하리의 감투봉까지 내려오는 산등성이 위에 큰 바위들이 많다는 사실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한글로 ‘고소득'이라 새겨진 바위가 있었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