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읍면안내

구미리

구미리

본래 적성현 북면 지역으로 임진강에 깊고 큰 구미소가 있으므로 ‘구미연리(龜尾淵里)'라 하였는데, 1895년(고종 32) 지방관제 개정에 따라 마전군 하신면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의해 연천군 백학면에 편입되면서 구미연리를 현재의 구미리로 개칭하였다. 1945년 해방과 동시에 38선을 경계로 하여 남북이 분리되면서 대부분이 공산 치하에 놓이게 되었고 남한 지역에 속한 일부 지역은 동년 11월 3일 「군정법령」 제22호에 의하여 파주군 적성면에 편입되었다가 한국전쟁이 끝난 후인 1954년 11월 17일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에 의거, 행정권이 수복되었고, 1960년 11월 18일 구역확장규칙 개정에 따라 다시 연천군 백학면에 편입되어 오늘에 이른다. 현재 1개의 행정리, 1개 반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명유래

  • 구연동(龜淵洞) : 구미리에서 가장 큰 마을. 임진강의 구미소와 가까운 곳이라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여지도서』에는 조선 초 권근(權近, 1352∼1409)과 동생인 권우(權遇, 1363∼1419)의 출생지가 구연동과 관련 있음을 밝히고 있으며, 『신증동국여지승람』 적성현 산천조에는 권우가 쓴 고향을 그리는 시가 4수 있다. 이로 볼 때 권근의 고향은 이곳 구연동임을 알 수 있다. 현재는 조선 중기에 정착한 동주 최씨들이 집성촌을 이루고 있다.
  • 아랫말 : 소작밭 아래에 있는 마을. 윗말에 상대되는 이름이다.
  • 윗말 : 소래울에 있던 마을. 한국전쟁 전에는 문화 유씨들이 집성촌을 이루었던 곳이었으나 지금은 목장이 입주해 있다.
  • 토막포(土幕浦), 토막개 : 굉밭 동쪽, 임진강변에 있던 마을. 흙으로 쌓은 토막이 있었다 한다.

지역명칭 설명

  • 거물개봉 : 구연동 입구에 있는 봉우리. 산의 모양이 농기구인 거물개(고무래)와 같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봉우리의 형상으로 인하여 구연동 마을이 항상 재물이 풍족하다고 한다.
  • 굉밭 : 토막포와 소래울로 갈라지는 삼거리에 있는 밭. 모양이 소의 구유와 같이 움푹하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 구미소[尾沼, 龜淵], 잉어소, 수우리소 : 남바위 아래, 임진강에 있는 깊고 큰 소. 구미리의 형국이 거북이가 진흙땅에서 꼬리를 끌며 물에 들어 가는 모습인 금구예미형(金龜曳尾形)이라고 하는데, 소 옆에 임진강 쪽으로 돌출해 있는 큰 바위가 거북의 머리에 해당하고 혈에 해당되는 꼬리 부분은 구연동 쪽으로 향하고 있는 모양이다. 이에 금구예미를 ‘구미(龜尾)' 두 자로 줄여 구미소라 하 였고, 부근에 있는 마을 또한 구연동으로 불리우고 있다. 그러나, 일제가 우리 나라를 강점한 후 행정구역을 폐합하면서 우리 고유의 정서와 자연 이치가 담겨 있는 ‘구미동(龜尾淵)'지명을 ‘구미(九尾)'로 개칭한 것이 오늘에도 쓰이는 상태이다. 또한 이 소에는 큰 자라와 잉어가 많이 서식하여 ‘잉어소'로도 불리웠다. 조선 초의 명신이었던 권근이 세웠다고 전해 오는 수월정(水月亭)에서 연유하여 ‘수월'이 ‘수우리소'로 바뀌어 불리기도 하였다.
  • 긴골 : 우암 북쪽에 있는 좁고 긴 골짜기.
  • 남바위 : 구미소 북쪽, 임진강에 있는 바위. 가뭄이 들어 임진강 수위가 낮아져야만 수면 위로 바위가 남실남실 보인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 독지골 : 소래울 서쪽에 있는 골짜기.
  • 뒷골 : 구연동 뒤에 있는 작은 골짜기.
  • 뒷논 : 아랫말 앞에 있는 논.
  • 드낭골[斗蘭谷] : 독지골 북쪽에 있는 골짜기.
  • 드럼소 : 토막포 동쪽, 임진강에 있는 소. 예전에는 이 소로 토막포에 있던 배를 이용하여 미산면 삼화리로 왕래하였으나 없어진 지 오래 되었다.
  • 마지개울 : 소래울에서 발원하여 임진강에 합류하는 구미리에서 가장 큰 개울로 소래울에서는 ‘뒷개울'이라고 부른다.
  • 마지앞논 : 구연동 동쪽 마지개울 옆에 있는 논.
  • 망재 : 소래울 북쪽, 아미리와 경계에 있는 봉우리. 예전에 이 봉우리 정상에서 망을 보았다.
  • 매우물 : 온수물 옆에 있는 매우 찬 우물.
  • 부군나무자리 : 거물개봉 동남쪽, 산부리 끝에 있던 네 아름 굵기의 큰 느티나무가 있던 곳. 한국전쟁 전까지도 구연동 마을에서 신성시했던 나무였으나 전쟁 중에 베어 없어지고 그 자리에 민가가 들어서 있다.
  • 새둔지들 : 토막포 북쪽에 있는 넓은 들판. 예전에 억새풀이 무성히 자라던 곳이라 하여 지어진 이름이었으나 지금은 개간하여 모두 농경지로 변해 있다.
  • 석논 : 안산 옆에 있는 논. 돌로 논뚝을 쌓았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 소래울 : 구연동 북쪽에 있는 골짜기. ‘작은'*‘좁은'의 뜻으로 쓰인 고어 ‘솔'과 골짜기의 뜻을 가진 ‘울'이 합쳐져 ‘소래울'이 된 땅이름으로 ‘좁은 골짜기'란 뜻을 담고 있다.
  • 소작밭 : 석논 동쪽, 골짜기 안에 있는 밭. 어떤 사람이 소작으로 밭농사를 지었던 곳이라 한다.
  • 수우리고개[水月峴] : 학곡리로 넘어다니는 고개로 수우리소의 위에 있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 안산(案山) : 소래울 입구에 있는 조그만 산. 문화 유씨 묘역의 안산이 된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 약대산(藥大山) : 새둔지들 북쪽, 미산면 아미리와 경계에 있는 봉우리. 높이 142m. 임진강 옆 산비탈에 약수가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약대산고개 : 새둔지들에서 미산면 아미 2리의 여씨동으로 넘어다니던 고개.
  • 온수물 : 구연동 서쪽, 골짜기에 있던 우물. 예전에 더운 약물이 나왔던 곳이었으나 어느 날 서울에서 온 거지가 손발을 씻어서 부정탔다 하여 메워버렸다 한다.
  • 우암(牛岩) : 굉밭 북쪽에 있는 소 형상의 바위.
  • 윗터개 : 새둔지들 북쪽, 임진강에 있던 나루. 구미리에서 가장 북쪽에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점말고개 : 소래울에서 아미 1리 점말로 넘어다니던 고개.
  • 큰우물 : 거물개봉 남쪽, 구연동 입구에 있는 우물.
  • 풀무골 : 망재 동쪽에 있는 골짜기.
  • 해기고개 : 소래울에서 미산면 아미 1리의 해기골로 넘어가는 고개.